-
키움증권 주가전망, 여전히 저렴할까? 배당 매력은?(ft.증권주)돈버는 꿀팁들 2022. 1. 18. 16:54
본 글에는 키움증권 주가전망과 함께, 그 기반이 되는 사업분석과 재무분석도 담겨 있습니다. 최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지만 시장에 대한 전망, 그리고 기업에 대한 전망을 주관이 반영됨을 밝힙니다.
모든 투자 판단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은 언제나 투자자 자신에게 있음을 명심하시어 다른 자료들까지 섭렵해 신중한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생은핏,LIF입니다.
<지난번 우리금융지주 분석 글 보러가기>
오늘은 지난번 <우리금융지주 주가전망>글에 이어서 증권주 키움증권 주가전망을 해보려 합니다. 글의 진행 순서는 오늘도 다음과 같습니다.
1) 키움증권 사업분석(무엇으로 돈을 벌까)
2) 키움증권 재무분석(실적 재무비율 현금흐름)
3) 키움증권 주가전망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키움증권 사업분석
키움증권은 국내 증권사들 중에서 온라인 고객 기반으로 16년 연속 주식위탁매매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온라인 증권사입니다.
온라인 브로커리지 지배력을 바탕으로 국내 주식시장 점유율은 약 21%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우기술이 지분 41%를 보유한 최대주주입니다.
키움증권은 산하에 키움저축은행/키움YES저축은행/키움투자자산운용/키움인베스트먼트/키움캐피탈/키움프라이빗에쿼티 등 금융 자회사들을 무수히 많이 거느리고 있는 금융사이기도 합니다.
키움증권 매출 구성을 살펴보면, 전체 매출(영업수익) 중 25% 정도가 리테일(브로커리지)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50% 정도가 홀세일(법인 및 기관영업)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이 리테일 부분이 40~50%를 상회하는 정도로 높기 때문에 리테일 부분에서 대부분(절반 이상) 영업이익이 발생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현재 국내 증권사들 중에서 리테일 쪽 시장점유율이 높은 키움증권의 실적이 높아진 것도 사업구조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개인들의 증시 유입이 많을수록 가장 큰 수혜를 입는 기업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2) 키움증권 재무분석
- 실적
키움증권 실적을 살펴보면, 2020년 코로나19로 시장이 급락하면서 개인들의 대거 증시 유입으로 브로커리지 수익이 극대화되면서 2021년까지 긍정적인 실적이 발생했습니다.
이미 영업이익은 2021년 약 1조 1,600억 원 규모로 전망되고 있는 상황인데, 이는 2022년 1월 18일 장마감 기준 현재의 시가총액이 2조 5,879억 원임을 고려할 때 상당히 많은 돈을 버는 중입니다.
사실상 시가총액이 말이 안되는 수준입니다.
물론 국내에서는 증권주 및 은행주 등 금융주 소외 분위기가 팽배한 터라 저평가 상황이라고 해서 당장 내일 주가가 오르는 게 아니기 때문에 투자 관점에서는 시장참여자의 증권주에 대한 관심도도 잘 보셔야 합니다.
- 재무비율
키움증권 재무비율의 경우에는 여업이익률이 20%를 상회하며, ROE도 24% 수준입니다. 부채비율은 증권사들 사업 구조 특성상 높을 뿐이지 무난한 수준입니다.
한편, 시가배당률은 2% 수준으로 고배당주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2% 이상 배당을 주는 종목은 상당히 많으니까 말입니다.
PER은 3배 수준으로 배당과 마찬가지로 역시나 낮은 편입니다.
3) 키움증권 주가전망
그럼 이제 키움증권 주가전망을 해보겠습니다. 2022년 1월 18일 장마감 기준 키움증권 시가총액은 2조 5,879억 원이며 주가는 98,700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한편 저는 특정 기업에 대한 주가전망치를 구하기 전에 해당 기업에 대한 적정 시가총액을 구해보고 있으며, 이때 다음 공식을 적용합니다.
*기업 적정 시가총액 = 과거 3년 평균 영업이익(또는 해당년도 영업이익 전망치) x 멀티플(또는 PER, ROE, 영업이익률) 키움증권 영업이익의 경우 이미 증시에 유입된 자금이 단시간에 빠져나갈 것으로 보지는 않고, 유입된 자금이 주식 매도를 통해 회수 후 이탈될 때까지는 브로커리지 수익이 확보되어 있다는 점에서 적어도 2022년까지는 실적이 2020년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보겠습니다.
이에 따라 2021년 전망치보다는 더 보수적인 2020년 영업이익 약 9,690억 원을 사용하겠습니다. 멀티플은 국내 금융주들에 대한 동일업종 PER인 4배를 적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영업이익률이 20%를 상회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다분히 낮은 멀티플이지만 국내 시장 참여자들의 증권주에 대한 소외 태도를 무시할 수는 없기에 4배를 적용합니다.
결과적으로 키움증권 적정 시가총액은 약 3조 8,760억 원이 되겠으며, 이는 현재 수준보다 약 49% 높은 수준입니다. 따라서 키움증권 주가전망치는 약 147,000원으로 기대하겠습니다.
그럼 이것으로 키움증권 주가전망, 여전히 저평가일까? 배당 매력은?(ft.증권주) 분석을 마칩니다.
인생은핏,LIF 올림.
※다시 한 번 강조드리지만, 투자 활동에 있어서 모든 최종적인 책임은 언제나 여러분 자기 자신이 지게 됩니다. 정말 신중하게 본인 원칙 안에서 잘 판단하시어 안전한 투자생활 하시면 좋겠습니다. 성공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인생은핏,LIF의 또다른 종목 분석 글 -
국내 종목 : 조용한 게임주, 넷마블
해외 종목 : 게임 위에 있는 게임엔진 관련주, [UNITY]유니티
'돈버는 꿀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생활건강 주가전망, 한풀 죽은 화장품관련주..지금이 저평가일까? (0) 2022.01.19 신성델타테크 주가전망,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관련주로 더 오를까? (0) 2022.01.18 미투젠 주가전망, 카지노 게임 관련주..VR/메타버스/NFT/P2E로도 괜찮을까? (0) 2022.01.18 원익QnC 주가전망, 과연 쿼츠 세라믹으로 어디까지 오를수 있을까? (0) 2022.01.17 서울반도체 주가전망, 아직도 살만한 타이밍일까?(ft.LED광반도체 관련주) (0) 2022.01.16